자유게시판
인백상 수상, 모든 영광을 동문들에게 돌립니다.
본문
제가 졸업한 인천고등학교는 개화 초기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생겨난 학교입니다. 인천고등학교 모태는 1895년 5월 「외국어학교관제」 공포이후, 당시 인천 감리(監理) 박세환(朴世煥)과 재인 일본 영사가 조정에 건의하여 1895. 6. 27. 인천 중구 내동에 설립된 관립 한성외국어학교(漢城外國語學校) 인천지교(仁川支校)이지요.
교육기간은 3년이었고, 초대 교장에 박세환이 취임하셨습니다. 당시 서세동점의 상황에서 몰려오는 열강들의 문호개방 요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재원을 양성할 필요성이 생겼습니다. 필요한 외국어로는 일본어가 필요한 상황이었고, 한문독서, 한문 작문, 역사, 지리 등의 교과목을 가르쳤던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당시 신교육에 대한 일반 대중의 이해가 부족한 시기였지요. 그러므로 고관 및 지역 유지의 자제들만이 입학하였습니다. 1898년 5월 제1회 졸업생 9명이 배출된 이후로 오늘에 이르렀습니다.
1904년 인천일어학교, 1912년 인천공립상업학교로 개칭되었으며, 교과목도 수신·국어·한문·수학·부기·상사요령·과학·상품지리·법제경제·체조·일본어 등으로 확대되었고, 1922년 3월 인천 동구 송림동으로 교사를 이전하였으며, 같은 해 4월 5년제 갑종학교로 개편되었습니다. 1931년에는 일본인 학생만을 교육하던 인천남공립상업학교를 병합하여, 한국인과 일본인이 함께 공부하는 학교가 되었습니다.
광복 후 1946년 9월 6년제 인천공립상업중학교, 1951년 8월 3년제 인천고등학교로 개편되었으며, 1971년 9월 인천시 남구 주안동 현재의 위치에 교사를 신축하여 이전하되었고, 1974년 고등학교 평준화 시책에 따라 상과를 폐지하고 인문계 33학급으로 편성하였습니다. 1992년 상과 3학급을 부활시켜 4년간 운영하였으나, 1996년 다시 폐지한 상태입니다.
인천고등학교의 교훈은 ‘성실’입니다. 학생 중심 교육, 다양하고 특성화된 교육, 창의적 사고력을 신장하는 교육, 자율과 책무성을 강조하는 교육을 도모하고 있습니다. 일제강점기 학생운동으로 1905년 을사조약에 항거한 동맹휴학, 1919년 3·1운동, 1930년대 항일독립투쟁 등을 벌여 민족의 독립정신 고취에 선봉이 되기도 하였습니다.
저는 인천고등학교 70회 졸업생으로서, 당시 김세기 교장선생님이 재임하던 시절 졸업한 학생입니다. 당시 인고 중흥을 외치던 시절입니다. 이 시절 법대에 입학하면서 잠시 동창회 일을 소홀히 하기는 하였으나, 사법시험에 합격한 이후, 동창회 일에 적극 관여하기도 하였습니다.
1995년에는 인고 100주년을 기념하기 위하여 ‘인고 백주년 기념관’을 건립하기도 하였습니다. 당시 백주년 기념사업준비위원회의 위원장은 ‘신동준’ 회장님이 맡으셨습니다. 당시 인고 100년의 역사를 기념하며 여러 가지 행사를 치루었는데, ‘월미도 가족놀이 축제’, ‘김덕수 사물놀이 공연’, ‘KBS 열린 음악회’ ‘100주년 기념관 건립’ 등이 주요한 사업내용이었습니다.
당시 저는 인천고등학교 70회 졸업생으로서 위 행사에 적극 참여한 바 있습니다. 당시 70기수 협의회(약칭 인동회)의 회장으로서 100주년 사업을 위해 특별하게 신경을 썼던 일이 새삼스럽기도 합니다. 특히 ‘김덕수 사물놀이’를 인천 최초로 인치하여 공연함으로서, 사물놀이 공연화의 세계화에 앞장서는 일을 감당하기도 하였습니다. 인천고등학교를 졸업하는 모든 졸업생들이 다 그렇듯이 누구나 다 인천고등학교를 사랑합니다. 저도 그런 졸업생 중에 한 사람일 뿐입니다. 졸업생의 한 사람으로서 최선을 다해 100주년 사업을 위해 뛰었습니다.
그 후 저는 인천고등학교 야구후원회 회장을 맡아 일하기도 했습니다. 운이 좋아서인지, 아니면 당시 야구부 학생들의 기량이 출중해서 그런지 몰라도, 후원회 회장을 역임하는 기간 동안 3회에 걸쳐 전국대회 우승을 하는 기염을 토했습니다. 아낌없이 후배 야구선수들을 도와주기도 하였습니다. 특별히 두 번에 걸친 우승파티를 통해 부족했던 야구후원회 기금을 상당히 모금해서 후배회장에게 넘겨주기도 했습니다. 하지만 이 모든 것이 인천고등학교를 사랑하는 많은 사람들 중의 한 사람으로서 의당 해야 할 일을 했을 뿐입니다.
그런데 인백상 수상자로 선정되었다는 총동창회 사무국으로부터의 통지는 한편으로 기쁘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부끄럽기도 하였습니다. 왜냐하면 정말이지 모교를 사랑하는 동문들이 너무나 많기 때문입니다. 아마도 더 동창회를 사랑하라는 격려의 의미가 더 강하지 않았을까 싶습니다. 그래서 제 마음은 더 무겁습니다. 이번 수상을 결정해주신 총동창회 이경호 회장님, 인백상 심의위원회 모든 위원들, 그리고 모든 동문들에게 이 영광을 돌리고 싶습니다. 아울러 동창회 일을 할 때마다 가족들의 협력이 없이는 불가능했다는 점에서 이 영광을 가족들에게도 돌리고 싶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 5. 22. 이기문 올림
댓글목록 0